기초용어해설

가소성(可塑性, plasticity)

 물체에 힘을 가하면 비틀림이 생긴다. 응력(應力)이 작을 동안에는 응력(應力)을 제거하면 비틀림은 소실된다. 즉 탄성을 나타내는데 응력이 어떤 값(탄성한도) 이상이 되면 응력(應力)을 제거해도 비틀림의 일부 또는 대부분이 그대로 남아 재료는 변형된 채로 있게 된다.

가소제(塑劑, plasticizer)

플라스틱, 합성고무등에 가소성을 부여하여 유연성, 탄성(性), 가공성 등을 부여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용성( 性), 불휘발성( 性), 내한성, 열 및 빛안전성, 비이행성( 性), 무색, 무미(味), 무취, 무독 등의 조건이 요구된다.

가스베리어성(gas barrierability)

포장재료(필름, 시트, 플레이트 등)의 가스 차단성을 말한다.

가압건조(加壓乾燥, explosive puff dry)

곡물류, 콩류등 비교적 수분이 적은 식품에 많이 이용되는 건조법의 한가지. 피건조물을 내압용기로 밀봉하여 가열하고, 온도와 압력이 일정의 조건에 도달한 때 내압용기의 뚜껑을 개방하여, 피건조물을 상압(常)속에 분출 시켜 건조하는 방법. 원료중의 수분은 급격히 기화, 증발하므로 발포(發泡)한 다공질의 제품이 획득 되는 것이 특징이다.

가압살균(加壓殺菌, hyperbaric retorting)

열용융방식으로 밀봉한 용기를 가열살균하는 방법, 용기를 100°C 이상으로 가열 처리하는 것과, 용기 내에 봉입된 공기나 식품에서 발생하는 기체의 팽창 때문에 용기 내에 압력이 파생한다. 금속 캔은 이 내압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고 있지만, 레토르토파우치나 성형용기는 파열된다.

결로(結露, dew point)

공기 중에 기체의 상태로 존재하는 수중기(기체)의 양은 일정의 온도에 있어서 각각 한계가 있고, 온도의 고저(高低)에 비례하여 증감한다. 따라서 비교적 높은 온도에 있어서 포화(和)에 가까운 수증기량의 공기가 그 상태로 온도만이 하강한 경우 포화점을 지나서 잉여(餘)의 수증기는 응축( )하여 물방울이 되어 표면에 부착한다. 이 현상을 결로라 한다.

개구성 및 슬립성

필름의 대부분이 블로운 압출방식으로 제조되는 바, 블로운 압출에서는 원통형의 버블을 압착시키므로 필름은 2겹으로 만들어진다. 이 필름은 또한 Bag으로 가공되고 Bag은 여러단으로 적재되어 보관하므로 Bag으로 가공 및 사용 시에 주둥이 부분이 서로 붙지않고 잘 열려주어야 한다. 이 때 잘 열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블로킹이 적고 스립성이 좋아야 한다. 여기서 블로킹이 적다함은 두겹 필름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잘 떨어져 주는 개구성을 말하며, 슬립성이 좋다함은 좌우로 잘 미끄러져 주는 것을 말한다. 블로킹의 정도는 필름을 상하로 떼어낼 때 걸리는 힘을 측정하고, 슬립성은 필름을 좌우로 당길 때에 걸리는 힘을 측정하는 것으로써 경사각을 주고 미끄러지는 각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슬립성 및 개구성은 마찰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마찰의 종류는 물체가 움직이기 시작할 때 표면에 작용하는 정적마찰(Static Fiction)과, 움직이고 있는 물체의 표면에 작용하는 동적마찰(Dynamic Friction)의 두 가지가 있다. 마찰력의 크기의 척도는 마찰계수로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마찰계수와 슬립성과의 관계는 반비례 관계이므로 마찰계수가 증가하면 슬립성은 저하된다.

1. 개구성
개구성은 블로운 압출필름 제품에서 매우 중요한 물성의 하나로 붙어있는 두겹의 필름을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단위폭 당 평균부하를 개구력이라 한다.

2. 슬립성
슬립성은 가공시 기계방향과 세로방향의 표면특성이 각기 다르므로 슬립성 측정시험은 필요에 따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대해 별도로 시험을 수행한다.

경화(硬化, curing)

합성수지나 고무 등에 열 또는 경화제(촉매)를 작용시켜 분자간의 가교반응에 의해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변화 시켜는 것

공압출 (coextrusion)

2대 이상의 압출기(extuder)를 사용하여 각각의 용융수지를 동시에 압출하여 용융상태에서 복수층으로 적층하여 복합필름을 성형하는 방법,
튜붙라(Lubula)법과 티다이(T die)법이 있다. 또한 필름형태 이외에 파이프, 병, 평판 등으로도 성형한다. 필름성형에는 다이(die) 내 접착법과 다이 외 접착법 등이 있다.

광택도

폴리올레핀의 광학적 성질은 필름 및 기타 성형제품들의 상품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성질 중의 하나이며, 필름의 표면구조는 많은 요철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표면에서 빛의 산란이 일어난다. 또한 필름의 내부도 결정화 과정에서 미결정부분, 비결정실부문 및 대부 보이드 등 여러가지 불균일상이 만들어져 있으므로 이들의 계면에 있어서 빛의 굴곡율이 크게 변하므로 빛의 산란이 일어나 불투명해진다.
따라서 필름의 투명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결정성을 억제하고, 가능한 한 불균일상을 감소시키는 등의 최적 가공조건을 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광학적 성질의 종류에는 흐림도(Haze), 광택도(Gross) 및 투명성 (Transparensy) 등이 있다. 표면의 광택도 또한 투명도와 마찬가지로 포장용 필름에서는 중요한 물성으로 사출, 중공성형의 경우 금형표면이 평활하여야 하고, 금영의 온도가 높을수록 광택도는 향상된다. 금형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금형의 게이트 직경을 적게 하기도 하며, 압출 필름에서는 Roll의 평활도(Smooth)에 비례한다.

표면광택도의 측정방법 (ASTM D 2457, %)은 시편에 고아선을 조사시켜 이때의 산란율을 측정한다.

그라비어 잉크 (gravure printing)

사진조각 요(四)판 인쇄의 일종, 사진 제판의 방법으로, 화선(線)을 동판에 형성하여 부식한다. 즉, 동의 실린더 또는 평판 위에 사진 현상을 이용한 상(像)을 만들고, 이것을 원래대로 하여 극히 적은 구멍을 농담(濃淡)에 부응하여 깊게 혹은 얕게 부식한다. 이 구멍에 잉크를 채워 여분의 잉크를 나이프닥터(knife doctor)로 긁어내고, 압력을 가하여 재료에 전이 시킨다.

그라비어 잉크 (gravure ink)

그라비어 인쇄에 쓰이는 용제증발 건조형 잉크, 평판용, 볼록판용 잉크에 비해 유동성이 크며 점착성이 약하다. 판의 오목부에 잉크가 들어가기 쉽고 비화선부에 부착한 잉크는 긁개로 쉽게 긁어지며, 인쇄 후 신속히 증발 건조되는 것이 요구된다.

기체투과성

기체투과성은 식품포장용 필름으로 사용될 때 중요한 물성으로 기체투과성이 요구되는 청과물 포장용 필름, 기체차단성이 요구되는 생선 포장용 필름 등 용도에 따라 차단성에 대한 반대의 성질이 각각 요구된다. 가스투과현상은 플라스틱 표면에서 기체의 흡착, 용해, 확산, 탈착 등의 거동이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투과도의 측정방법은 기체투과도의 경우 필름의 단위면적을 단위시간에 투과하는 기체의 양으로 측정하며 그 단위는, cc/cm2 hr 혹은 g/m2 . 24hr로 표시된다.

한편 액체의 투과도 측정은 Wilson의 Pernarchor Value에 의한 투과성 추정법이 사용되며, 특정치인 정수(K)를 실험적으로 구하고 각종 용제에 대한 투과에 함량을 추정하고 있다. 이 추정법은 엄밀히 따지면 결정화도에 따라 K, R값이 변화하지만 구조를 알고 있으면, 용제의 투과성을 일단 추정할 수 있으므로 유용성이 높은 방법이다.

나프타 (naphtha)

석유(石油), 콜타르(coaltar), 오일 셰일(oil shale)을 증류해서 얻는 저불점의 탄화수소에서 나오는 기름이다. 석유(石油) 나프타는 ASTM에서는 10% 증류점이 3740(1750) 이하, 95% 증류점이 464F(2400)로 정의하고 있다. 휘발유는 이 범위에 들어가 있고, 제유소에서 나프타라 불리고 있는 것은 조제 휘발유 유분이다. 석유 나프타는 열분해, 개질분석 등에 의해 화학공업의 중요한 원료가 다량으로 생산된다. 즉 휘발유 각종 용제, 방향족 화합물, 에틸렌, 프로필렌 등 저급 올레핀(olefin), 또 그것에서 유도 되는 많은 것들이 플라스틱 원료가 될 수 있는 화합물들로서 나프타는 고분자화학 공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내약품성(藥品性)

산, 알칼리 등의 화학약품에 견디는 성질의 총칭. 외관, 크기, 기계적 성질의 변화 등에 따라 평가된다.
내약품성 도료는 화학약품에 직접 접촉하는 부위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칠하는 도료, 기타 내약품성 고무 등이 있다.

내유성(耐油性)

기름과의 접촉에 의한 형상의 변화, 혹은 물리적 성질의 저하에 대한 플라스틱과 고무의 저항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기름 중에 침지된 시험편에 의해 평가된다.

내충격성(耐衝擊性 , shock resistance)

재료가 충격에 대해 견디는 성질, 외부에서 고속으로 충격력을 가하여 파괴시킨 뒤 그에 소요된 에너지를 측정하여 평가한다. 주로 플라스틱이 대상이 된다.

대전방지제(帶電防止劑)

표면 고유 저항을 적게 하여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합 혹은 도포 되는 화합물.

드라이 라미네이터 (dry laminate)

1. 유기용제계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로를 통해 요제를 건조한 후 압착하는 래미네이트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코오팅한 필름을
사용하여 가열 압착하는 패미네이트를 말한다.
2. 분류법에 의해서는 수용성 접착제 및 유기유제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 시킨 것은 워트래미네이트 그런 것들을 사용하지 않고 접합시킨 것을 드라이 라미네이트로 분류시키는 경우도 있다.

레토르트 살균(retort sterilization)

가열 살균처리에 의해서 포장식품을 무균화 하기위해서는 산성식품을 제외하고 100°C 이상의 온도로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증기는 대기압이상의 압력으로 하면 1000 이상의 온도가 획득되고 더욱이 일정압에 있어서 일정온도를 나타낸다고 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레토르트라 호칭 되는 고압 솔을 사용하고 이것에 포장이 끝난 식품을 넣어 증기에 의해서 식품을 살균하는 식품보존법의 한 수단이다.

레토르트 파우치 (retortable pouch)

내열성 다층필름을 사용한 대()상태의 레토르트 식품용기이며 투명한 것과 알루미늄박을 사용한 불투명인 것이 있다. 라미네이트 구성재료 로서는 폴리에트텔, 나일론이 다층기재로서 사용되고 있고 알루미늄박은 중간층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최내층은 실런트로서 폴리오래핀이 이용되고 특히 CPP를 사용하는 것이 많아졌다. 투명 파우치로 산소차단 성을 필요로하는 것은 중간층에 PVDC나 에발을 사용하는 것도 있다.

무용제(無容劑) 라미네이션 (non solvent lamination)

100%고형분의 일액반응형(一反應型)우레탄접착제를 핫팬(hot Pan)으로 용융하여 기재에 도포접착하는 것.
용제가 아니므로 생자원적 이며, 공해문제도 발생하지 않지만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비해 접착성, 내열성이 열악하다.

베리어성 (barrier)

공기, 물, 가스, 수증기 등의 차단성, 불투과성을 말한다.

비중 (specific gravity , 比重)

(1) 물질의 단위용적 무게와 어떤 표준물질의 비. 보통 표준물질로서 4°C의 순수한 물을 비중 1로 한다.
(2) 어떤 물질의 질량과 이것과 같은 부피를 가진 표준물질의 질량과의 비.
표준물질로서는 고체 및 액체의 경우에는 보통 1atm, 4°C의 물을 취하고, 기체의 경우에는 OC, 1atm하에서의 공기를 취한다.
비중은 온도 및 압력(기체의 경우)에 따라 달라진다. 무차원수(無次元數)인데, 고체, 액체에 대해서는 그 값이 소수점 이하 5자리까지 밀도와 일치한다.
대부분 비중과 밀도는 그 값이 같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뽑힘성(DDR: Draw Down Rate)

필름의 뽑힘성은 용융상태의 수지를 어느 정도까지 파열되지 않고 얇게 늘릴 수 있는가 하는 용융팽창성 (Melt Extransibility)을 의미한다. 실제로 필름 압출에서는 얼마까지 얇게 뽑을 수 있는냐 하는 용융팽창성은 물론 용융상태에서의 강도(Melt Strength) 또한 중요한 문제가 된다.
측정방법은 압출기에서 일정한 온도, 토출량, 다이의 개구 상태에서 인취속도를 증가시키면서 필름의 끊어질 때의 인취 속도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뽑힘성은 수지의 다른 물성이 같다면 용융지수가 높을수록, 분자량분포가 넓을수록 증가한다.

보향성(保香性, keeping fragrancy)

냄새를 유지시키는 성능으로 내용물의 냄새를 외부로 발산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용기, 혹은 사용하는 재료의 성능.

솔벤트리스 라미네이터 (solvent less laminator)

복합재료 가공용의 라미네이터는 종래 솔벤드(용제)로 용해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가공을 처리하는 것이고 식품등의 포장에는 접착제의 잔류용제가 나쁜냄새의 이행등으로 문제가 되었다.
이 대응책으로서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접착제와 이것에 의한 라미내이션 가공기계가 개발되었다. 이것을 솔벤트리스 라미네이터라 한다.

수축(收縮)필름

플라스틱을 연화점보다 조금낮은 온도로 방향또는 가로, 세로 2방향의 연신냉각하여 만들고 재가열에 의해 수축하는 성질을 부여한 필름.

스탠딩 파우치 (standing pouch)

플랙시블 스탠딩 파우치는 1964년 티모니어사(프랑스)에 의해 개발되었다. 내용물을 넣으면 저부가 넓어져 자립하게 되도록 되어있다.
부분에는 일부의 미씰부분을 존재시켜 낙하나 진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시키도록 되어있다. 쥬스나 청량음료, 와인, 조미료, 수분이 있는 식품의 가공품등의 포장에 사용되고 있다. 유리병과 캔에 비해 경량으로 사용전은 편평대 이므로 보관 스페이스가 적고 투명하며, 수송, 재고에 유리하다.

신장률 (elongation percentage , 伸張率)

재료의 인장 시험시, 처음의 길이와 파단 때의 길이와의 비, 재료의 처음 길이를 요. 파단했을 때의 길이를 Q’, 신율을 E라 할 때, 이 은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신장률 ε(%)는 식ε=( ℓ – ℓ0) ×100)/ ℓ 0

ℓ: 시험편의 파단후의 표점간 길이, ℓ 0: 처음의 표점거리

알루미늄 파우치 (aluminium pouch)

필름 구성재료의 하나로서 알루미늄박을 포함한 대()형태의 포장, 산소와 수분의 차단과 광선에 의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통상0.007~0.009mm정도의 알루미늄 박이 사용되고 있다. 내용물이 보이지 않는 결점이 있지만, 장기간 보관이 필요한 식품 및 제품에는 알루미늄 박이 필수가 된다.
※ 알루미늄의 장점
1. 알루미늄 자체가 지니고 있는 금속광택에 의해 디스플레이 효과가 있다.
2. 차광성이 우수하다.
3. 습기를 차단하는 방습성이 있다.
4. 가스 베리어성이 있다.
5. 보향성이 우수하다.
6. 내수성이 있으므로 물과 접촉해도 평윤하거나 연화되지 않는다.
7. 내유성이 우수하다.
8. 독성과 냄새가 없다.
9. 전기를 통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아 먼지가 부착되지 않는다.
10. 내열성, 내한성이 우수하다.

※ 알루미늄의 단점
1. 불투명하여 내용물을 볼수 없다.
2. 상체(scratch)가 나기 쉽다.
3. 열접착성이 없다.
4. 압연가공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핀홀(pin hole)이 발생하기 쉽다.

압출 라미네이트 법 (extrusion laminating)

플라스틱 필름의 라미네이트 제법의 일종, 폴리에틸렌 등을 압출기로 plate die에서 필름 형태로 압출하여, 필름이 용융상태에 있는 중에 셀로판, 폴리에스터 등 라미네이트 하려는 필름에 압착하여 접합(接合)시키는 방법.

연신 (streching, orintation, drawing)

필름(film),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 등을 재료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기계적으로 늘려서(streching) 인장방향으로 평행하게 분자를 배열시키는(orientation) 조작을 말한다.
이 조작에 의해 인장강도는 현저하게 향상되고 강인성도 증가하지만 필름 등에서는 연신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의 강도는 오히려 저하되어 찢어지기 쉽게된다. 연신필름의 이 성질을 이용하여 세로로 가늘게 찢어지게 만든 슬릿 얀(slit yarn)은 하조용의 끈 등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필름 등에서는 가로 세로의 강도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가로 세로의 양쪽 방향에서 들이는 이축(軸)연신 가공이 행해지고 있다. 연신 공정 후에 치수 및 강도의 안정성을 꾀하기 위해 연신온도보다 약간 저온으로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신온도 이상으로 재가열하면 원래의 치수로 수축하려는 성질이 있다. 연신필름의 이 성질을 이용해서 수축 포장이 행해지고 있다.

연화점 (softening point)

플라스틱에 일정한 하중을 가하고 일정한 승온속도로 가열할 때 변형하기 시작하는 온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을 가열하면, 결정체와 같이 명확한 융점을 나타내지 않고 잠시 연화되었다가 용융되는 것이 많다. 연화점 이상의 온도가 되면 기계적 성질이 저하된다.

열가소성 (thermoplastic , 熱可塑性)

가열하면 소성 변화를 일으키게 되고 냉각하면 가역적으로 경화하는 성질, 금속, 유리 등 외에 사슬 중합체로 된 합성수지(열가소성 수지)에서 볼 수 있다. 가열에 의한 유동성 증대가 현저한 것일수록 열가소성이 큰 것을 말한다. hair를 dryer기기나 또는 curly iron 기구로 처리하면 본래의 모양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열과 힘의 작용에 의해 영구적인 변형이 생기게 하는 성질,

OPS (oriented polystyrene sheet)

2축 연신스틸렌 시트의 상태, 무독성과 투명성 및 성형효율이 양호하기 때문에 식품의 트레이(tray) 등에 많이 사용도고있다.

이면포장 (back side printing)

필름의 이면부터 인쇄하고 접합(合)시 필름사이에 잉크가 봉함되기 때문에 잉크의 긁힘둥이 방지 되고 표면에서는 광택이 있는 인쇄가 된다.

EVA (ethylene vinyl acetate)

초산비닐에틸렌의 공중합체(共重合體)의 약칭, 에바라고도 약칭한다. 초산비닐 함량이 큰 것은 접착제로, 적은 것은 저온 실(seal)성 필름, 중간정도는 코팅제로 사용되고 있다.

인열강도

인열강도란 찢어짐에 대한 저항으로 필름용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으며, 일반적으로 밀도가 증가할수록 인열강도는 증가한다. 측정은 Elimendorf시험기를 이용하거나 KS에 표시된 것과 같이 깔대기 형의 시편을 한쪽으로 잡아당겨서 찢어지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하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필름의 취약성(Brittleness)은 필름의 분자배열과 관계가 깊어 빠른 속도로 인취(Take-off)되는 평필름은 기계방향(MD)쪽으로 분자가 선상으로 배열하게 되어 기계방향과 횡측방향의 분자배열은 균형이 잡히지 않게 된다. 반면 평필름에 비하여 적당한 팽창비(B.U.R)가 주어지고 인취속도가 낮은 블로운 필름은 기계방향과 횡측방향의 분자배열이 평필름보다 균형을 잘 이루어 취약성에 대해서는 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필름의 양쪽 방향의 균형이 잘 잡힐수록 취약성에 대해 강하다.

이 실현은 폴리올레핀 필름이 어느 정도의 응력을 받을 때에 파열되나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이는 수지의 밀도와 가공조건 (문자배열)에 따라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수지의 밀도가 낮을수록, 분자량 분포가 좁을수록 파열되지 않는다.

인장강도 (tensile strength, 引張强度)

항장력이라고도 하며 재료의 인장시험에 있어서 시험편이 파단할 때까지의 최대 인장 하중(Wmax)을, 시험 전 시험편의 단면적(AO)으로 나눈 값(ot), 극한 강도라고도 불리고 재료의 강도 기준의 하나.

시험편에 하중을 가하면 시험편은 하중에 비례하여 늘어나며, 이윽고 비례 관계에서 벗어나게 된다. 어떤 늘어나는 값에서 최대하중 M 을 시험편의 원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 인장 강도이며, 단위면적에서 지탱할 수 있는 최대하중을 나타낸다.

인장탄성율 (Tensile modulus, 영율 Youngs modulus)

섬유의 빳빳함을 나타내는 척도, 정확히는 초기 인장저항도( 度), 즉 탄성률(性)을 말한다. 별칭 초기탄성률(初期性率)이라고도 한다. 이 숫자가 클수록 섬유는 빳빳하다. 섬유는 잡아당기는 힘에 비례하여 늘어나고, 힘을 느슨하게 하면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잡아당긴 힘이 너무 커서 늘어남이 한계를 넘으면, 이젠 더 원래의 길이로는 되돌아오지 않는다. 이 원래 대로 되돌아오는 최대한의 위치까지 늘어나게 할 때의 항장력(張力), 즉 잡아당기는 힘을 영율이라고 한다. 면이나 폴리에스테르는 영율이 높은 부류에 속하고, 이들 직물은 끈기와 빳빳함이 있다. 나일론 등과 같이 영율이 낮은 직물은 끈기가 없이 흐늘흐늘한 느낌이 된다.

진공포장(眞空包裝)

포장용기내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봉함과 동시에 내부의 용기를 탈기(脫氣), 진공에 의한 포장기법이다. 사용되는 재료는 주로 플라스틱(가스베리어성을 갖춘 복합 필름 또는 시트)이고 이 방법에 의하면 내용품의 산화, 부패를 상당히 방지할 수 있고, 상품의 셀프라이프(shelf life)를 연장하는 것으로, 식품포장분야에는 진공성형기의 발달로 함께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차광포장 (遮光包裝)

생선식품과 가공식품은 태양빛과 형광등 밑에서 변색, 지방산화 등의 제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빛을 투과시키지 않도록 알루미늄, 종이 등의 라미네이트 포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이 빛을 차단하는 것을 차광포장이라 한다.

핀홀 (pinhole)

엷은 플라스틱 제품에 관통해 있는 미세한 구멍. 또 금속재료, 주석판 등이 조그마한 구멍과 인쇄물의 미세한 구멍 등에 대해서도 사용된다. 베리어성의 저하가 나타나게 된다.

투명도 흐림도(Clarity/ Haze)

일반적으로 결정수지는 투명성이 낮은 반면 비결정수지는 투명성이 높다. 결정성 수지는 결정부와 비결정부에서 빛의 굴절률 차이가 있어 빛이 산란되어 버리므로 투명성이 저하된다. 그러나 PE, PP는 결정성 수지지만 냉각고화시 급냉에 의해서 그 결정 입자를 작게 하든가 결정화를 억제하면 비교적 투명성이 좋아진다. 포장용 필름은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지만 약간의 유백색으로 뿌옇게 보이는 것은 폴리에틸렌의 특성이며 필름의 표면이 평활하지 못하면 광선을 산란시켜 뿌연(Haze) 원인이 된다. 결정상태(Crystalline Area)에서는 무정형(Amorphous) 상태보다 빛의 굴절율이 커져서 유백색을 띠게 된다. 즉 결정이 성장할수록 투명도는 떨어지게 된다.

수지의 투명성을 결정하는 기본 특성은 이와 같고, 성형제품이 투명하기 위해서는 그 표면이나 내부조직이 균일할수록 좋고, 윤활제.. 이형제, 안정제 등 수지 이외의 불순물이 적을수록 좋다.
1) 원료의 건조를 충분히 한다.
2) 수지탄화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 및 분해물이 성형품을 황색화 및 투명성 저하 등을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의 온도와 스크류의 속도를 조절한다.
3) 실린더 내의 공기, 휘발성분 및 분해가스 등이 빠지기 쉽게 하기 위해 배압을 약간 높인다.
4) 금형표면의 재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금형온도를 약간 높인다.
5) 실린더 내부의 용융수지에 잔존하는 가스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벤트성형기를 사용한다.

측정방법은 흐름도(Haze)를 측정하며, 시편에 광선을 조사시켜 산란되는 광선의 %를 수치로 표시한다.

트레이 포장 (tray package, 접시포장)

접시(tray)에 물품을 넣어 전체를 투명한 필름으로 둘러싼 포장형태를 일반적으로 접시포장이라고 한다. 이는 prepack하는 포장형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그 형태도 다양하여 포장기계에 걸기 어렵거나 물리적으로 취약하여 그대로는 포장하기 어려운 것 또는 크기가 작아 개개의 포장이 바람직하지 못한 것 등을 접시포장함으로써 모양이 정리되고 기계화, 절약화되어 슈퍼마켓이나 소매점의 점포에 전시하여 판매촉진에 도움이 되는 이점이 있다. 접시용 재료에는 판지, 펄프, 발포폴리스티렌, 이축연신 폴리스티렌 등이 있고 내용품의 특성에 따라서 접시의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둘러싸는 필름으로는 셀로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범용필름이 쓰이고 최근에는 열수축성 필름을 사용한 수축포장과 새로운 스트레치 필름 (stretchable film에 의한 접시포장)이 큰 흐름을 타고 진출하고 있다.

합성수지(plastics, synthetic resns)

합성수지는 어느것이라도 분자량이 적은 물질을 중합시킬 수 있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초산비닐, 염화비닐, 아크릴, 스티롤 등 원료의 종류에 의해 구별된다.

합지 (lamination)

2장 이상의 종이나 판지를 접착제로 붙이거나 또는 종이나 판지와 금속박이나 플리스틱 필름 같은 것을 접착제나 열접착방법으로 접착시킨 것 또는 접착을 시키는 공정

후도(厚度, thickness)

종이 및 합성수지 필름의 두께, 측정방법은 2매의 평형원판에 끼워 일정의 압력하에 두었을 때의 수치.
두께의 측정에 사용하는 마이크로 메타는 주로 다이알 게이지(dial gage)형을 하용한다.